아래 이미지에서처럼 Config.xconfing 라는 파일을 하나 생성한다.
생성된 파일 안에는 자신의 API_KEY를 입력한다.
프로젝트에서 TARGETS -> info -> Key : API_KEY, Value: $(API_KEY)를 입력한다.
PROJECT의 Info에서 Debug에서 Config를 선택해준다. 만약 출시도 할 예정이라면 Release에서도 선택해준다.
info 파일 내에 SSL(Secure Sockets Layer) 연결 문제로 인해 발생을 해결하기 위해 아래 코드를 추가한다.
특정 도메인에 대한 예외 추가: apis.data.go.kr 도메인에 대해서만 예외를 추가하려면 다음과 같이 설정한다.
<key>NSAppTransportSecurity</key>
<dict>
<key>NSExceptionDomains</key>
<dict>
<key>apis.data.go.kr</key>
<dict>
<key>NSExceptionAllowsInsecureHTTPLoads</key>
<true/>
<key>NSIncludesSubdomains</key>
<true/>
</dict>
</dict>
</dict>
xcode 내에서 git에 commit과 push를 한다.
참고 사이트:
'UIKIT' 카테고리의 다른 글
UITableView를 UIView 넣어야 하나? 아니면 UIViewController에 넣어야 하나? (0) | 2024.08.16 |
---|---|
오토레이아웃과 UIScrollView의 동작 방식 이해 (0) | 2024.08.15 |
네비게이션 바 가시성 수정 및 상태 표시줄 배경색 추가 (0) | 2024.08.05 |
ScrollView 안에 PageControl 기능 넣기 (1) | 2024.08.04 |
Xcode에서 iPhone Orientation 설정 (0) | 2024.08.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