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보/레벨 0

암호화와 보안의 기본 개념, iOS 앱 보안을 위한 방안에 대해 설명해주세요.

밤새는 탐험가89 2024. 10. 4. 05:45

암호화의 기본 개념

**암호화(Encryption)**는 데이터를 보호하기 위해 평문(plain text)을 암호문(cipher text)으로 변환하는 과정입니다. 암호화된 데이터는 허가받지 않은 사람이 읽지 못하게 설계되었습니다. 암호화에는 크게 두 가지 방식이 있습니다:

  1. 대칭키 암호화 (Symmetric Key Encryption)
    • 암호화와 복호화에 동일한 키를 사용하는 방식입니다. 주로 빠른 성능과 효율성을 가지고 있지만, 키를 안전하게 관리하고 전달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예시: AES (Advanced Encryption Standard)
  2. 비대칭키 암호화 (Asymmetric Key Encryption)
    • 암호화와 복호화에 서로 다른 키(공개키와 개인키)를 사용하는 방식입니다. 공개키로 데이터를 암호화하고, 개인키로 복호화할 수 있습니다. 주로 안전한 통신에 사용됩니다.
    • 예시: RSA (Rivest–Shamir–Adleman)

보안의 기본 개념

**보안(Security)**은 데이터와 시스템의 무결성, 기밀성, 가용성을 보호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다음은 보안의 세 가지 주요 요소입니다:

  1. 기밀성(Confidentiality)
    • 민감한 정보가 허가된 사용자만 접근할 수 있도록 보호하는 것. 암호화는 이를 달성하는 주요 기술입니다.
  2. 무결성(Integrity)
    • 데이터가 허가되지 않은 수정 없이 유지되는 것을 보장합니다. 이를 위해 해시 함수 및 디지털 서명 같은 방법이 사용됩니다.
  3. 가용성(Availability)
    • 필요할 때 데이터나 시스템에 접근할 수 있도록 보장하는 것. 서버 장애 또는 DDoS 공격을 방지하는 것도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iOS 앱 보안을 위한 방안

iOS 앱 보안을 강화하는 방법은 여러 가지가 있습니다. 애플은 보안 관련 다양한 프레임워크와 권장 사항을 제공하고 있으며, 이를 적절히 사용하여 앱을 보호할 수 있습니다.

  1. Keychain 사용
    • Keychain Services는 민감한 데이터를 안전하게 저장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합니다. 패스워드, 인증 토큰, API 키 같은 정보는 Keychain에 저장하고, 암호화되어 관리됩니다.
  2. 암호화된 데이터 저장
    • File Protection을 사용하여 앱이 생성하는 파일을 암호화할 수 있습니다. iOS는 다양한 보호 레벨을 제공하여, 앱이 실행 중일 때나 디바이스가 잠겨 있을 때 파일에 접근할 수 없도록 설정할 수 있습니다.
  3. 네트워크 통신 암호화 (TLS/SSL)
    • iOS 앱이 서버와 통신할 때는 반드시 TLS(Transport Layer Security) 또는 **SSL(Secure Sockets Layer)**를 사용하여 네트워크를 암호화해야 합니다. 이를 통해 중간에서 데이터가 탈취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습니다.
    • 애플의 App Transport Security (ATS) 정책에 따라, 기본적으로 모든 앱은 HTTPS 통신을 사용하도록 요구됩니다.
  4. Touch ID / Face ID 사용
    • 사용자 인증을 강화하기 위해 Touch ID 또는 Face ID를 활용할 수 있습니다. iOS의 LocalAuthentication 프레임워크를 사용하여 생체 인식 정보를 앱 내에서 인증하는 데 사용할 수 있습니다.
  5. 취약점 점검 (Security Audits)
    • 앱의 보안 취약점을 주기적으로 점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타사 라이브러리를 사용하는 경우에도 그 라이브러리의 보안 취약점을 확인해야 합니다.
  6. 코드 난독화 및 데이터 무결성 확인
    • 앱 코드가 쉽게 분석되지 않도록 난독화(Obfuscation) 기술을 사용하고, 해커가 앱을 변조하는 것을 막기 위해 앱 실행 중에 데이터 무결성을 검사할 수 있습니다.
  7. JWT(JSON Web Token) 사용
    • 인증 및 권한 부여에 자주 사용되는 JWT는 클라이언트와 서버 간의 안전한 인증을 가능하게 합니다. 토큰은 서명되어 있으며, 이를 통해 무결성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대칭키 암호화와 비대칭키 암호화의 차이에 대해 설명해주세요.

 

대칭키 암호화와 비대칭키 암호화의 차이는 주로 사용하는 키의 종류보안 관리 방식에서 나타납니다. 아래에서 두 방식의 주요 차이점을 설명하겠습니다.

1. 대칭키 암호화 (Symmetric Key Encryption)

대칭키 암호화하나의 키를 사용하여 데이터를 암호화하고 복호화하는 방식입니다. 즉, 암호화할 때 사용한 키와 동일한 키로 데이터를 복호화합니다.

  • 키의 수: 암호화와 복호화에 동일한 키를 사용
  • 속도: 일반적으로 비대칭키 암호화보다 빠르며 효율적
  • 보안 관리: 키를 양측에서 동일하게 공유해야 하기 때문에, 키를 안전하게 전달하고 관리하는 것이 중요함
  • 적용 사례: 주로 대량의 데이터를 빠르게 암호화해야 하는 상황에서 사용됨 (예: 파일 암호화, 디스크 암호화)
  • 예시 알고리즘: AES (Advanced Encryption Standard), DES (Data Encryption Standard), Blowfish

장점:

  • 빠르고 계산 비용이 적음
  • 대량의 데이터를 암호화하는 데 적합함

단점:

  • 키 분배 문제: 암호화와 복호화에 같은 키를 사용하기 때문에, 키를 안전하게 전달하는 것이 어렵고 위험할 수 있음
  • 만약 키가 노출되면, 데이터가 모두 노출될 수 있음

2. 비대칭키 암호화 (Asymmetric Key Encryption)

비대칭키 암호화는 **서로 다른 두 개의 키(공개키와 개인키)**를 사용하여 데이터를 암호화하고 복호화하는 방식입니다.

  • 키의 수: 두 개의 키(공개키와 개인키)를 사용
    • 공개키(Public Key): 누구나 접근할 수 있는 키로, 데이터를 암호화하는 데 사용됨
    • 개인키(Private Key): 소유자만이 알고 있는 키로, 데이터를 복호화하는 데 사용됨
  • 속도: 대칭키 암호화보다 느림, 복잡한 수학적 계산을 포함하기 때문에 성능이 떨어짐
  • 보안 관리: 키 분배 문제를 해결함. 공개키는 자유롭게 공유할 수 있으며, 개인키는 안전하게 보관만 하면 됨
  • 적용 사례: 주로 작은 데이터나 인증에 사용 (예: SSL/TLS, 디지털 서명, 전자 메일 암호화)
  • 예시 알고리즘: RSA, ECC (Elliptic Curve Cryptography), DSA (Digital Signature Algorithm)

장점:

  • 키 분배 문제 해결: 공개키는 자유롭게 배포할 수 있기 때문에, 안전한 키 교환이 가능
  • 개인키가 안전하게 보관되면 암호화된 데이터를 복호화할 수 있는 유일한 방법임

단점:

  • 속도가 느리기 때문에 대량의 데이터를 암호화하는 데 적합하지 않음
  • 공개키와 개인키의 생성 및 관리가 상대적으로 복잡함

비교

특징대칭키 암호화비대칭키 암호화

사용하는 키의 수 하나의 동일한 키 공개키와 개인키 (두 개의 다른 키)
속도 빠름 느림
보안 관리 키를 안전하게 공유하는 것이 어려움 공개키는 자유롭게 배포 가능, 개인키는 안전하게 보관
적용 사례 대량 데이터 암호화, 파일 암호화 데이터 전송, 인증, 디지털 서명
예시 알고리즘 AES, DES, Blowfish RSA, ECC, DSA

결론

대칭키 암호화는 속도가 빠르고 대량의 데이터를 처리하는 데 유리하지만, 키 분배에 어려움이 있습니다. 비대칭키 암호화는 보안 관리 측면에서 뛰어나지만 속도가 느리고 계산 비용이 높아, 주로 인증 및 소량 데이터 암호화에 사용됩니다.

 

 

해시 함수의 개념과 활용 사례에 대해 설명해주세요.

 

해시 함수(Hash Function)의 개념

**해시 함수(Hash Function)**는 임의 크기의 데이터를 고정된 크기의 해시 값(또는 해시 코드)으로 변환하는 함수입니다. 해시 함수는 주어진 입력값을 고정된 길이의 문자열이나 숫자로 변환하며, 일반적으로 해시 값은 16진수로 표현됩니다.

해시 함수는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가집니다:

  1. 고정된 출력: 입력 데이터의 크기와 상관없이, 항상 고정된 크기의 해시 값을 출력합니다. 예를 들어, SHA-256은 256비트(32바이트) 길이의 해시 값을 출력합니다.
  2. 단방향성(One-way Function): 입력 데이터를 알고 있어도 해시 값으로부터 원래 데이터를 역으로 구할 수 없다는 특징이 있습니다. 이는 해시 함수가 일방향적인 성질을 가지고 있음을 의미합니다.
  3. 충돌 저항성(Collision Resistance): 서로 다른 두 개의 입력이 같은 해시 값을 출력할 확률이 매우 낮아야 합니다. 만약 두 개의 다른 입력이 같은 해시 값을 출력하는 경우를 해시 충돌이라고 하며, 좋은 해시 함수는 이러한 충돌을 최소화합니다.
  4. 민감성(Sensitivity): 입력값에 작은 변화가 생기면, 출력값(해시 값)이 크게 달라져야 합니다. 이를 Avalanche Effect라고 합니다.

해시 함수의 활용 사례

  1. 데이터 무결성 검사
    • 해시 함수는 파일이나 데이터의 무결성을 확인하는 데 사용됩니다. 파일을 전송하거나 저장할 때, 파일의 해시 값을 생성하고 저장합니다. 이후 파일을 다시 해시하여 기존 해시 값과 비교함으로써, 파일이 손상되었거나 변경되지 않았는지 확인할 수 있습니다.
    • 예시: 파일 다운로드 시 제공되는 SHA-256 해시 값을 다운로드한 파일의 해시 값과 비교하여 파일의 무결성을 확인.
  2. 암호 저장
    • 사용자의 비밀번호를 그대로 저장하는 것은 보안상 위험합니다. 해시 함수를 사용하여 비밀번호를 해시 값으로 변환한 후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면, 나중에 사용자가 로그인할 때 입력한 비밀번호를 다시 해시하여 저장된 해시 값과 비교할 수 있습니다.
    • 예시: 웹사이트의 로그인 시스템에서 사용자의 비밀번호를 해시 처리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 (보통 솔트(Salt) 기법을 사용하여 추가적인 보안을 강화).
  3. 디지털 서명 및 전자 서명
    • 해시 함수는 디지털 서명에서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메시지나 문서의 해시 값을 생성한 후, 그 해시 값을 개인키로 서명합니다. 이렇게 서명된 해시 값은 인증서와 함께 전송되며, 수신자는 공개키로 서명을 검증하여 메시지의 무결성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 예시: 전자 문서의 디지털 서명에서 문서의 해시 값을 서명하여, 문서가 위변조되지 않았음을 증명.
  4. 데이터 구조(해시 테이블)
    • 해시 함수는 **해시 테이블(Hash Table)**과 같은 데이터 구조에서 빠른 데이터 검색과 삽입을 가능하게 합니다. 해시 테이블은 키-값 쌍을 저장하며, 키를 해시 함수로 변환하여 고유한 인덱스를 생성하고 값을 빠르게 저장하거나 찾을 수 있게 합니다.
    • 예시: 데이터베이스나 캐시 시스템에서 빠른 검색을 위한 해시 테이블 구현.
  5. 블록체인
    • 블록체인 기술에서 해시 함수는 블록 간 연결을 유지하고 데이터 무결성을 보장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각 블록은 이전 블록의 해시 값을 포함하고 있으며, 블록 내용이 변경되면 해당 블록과 그 이후의 모든 블록의 해시 값이 바뀌어 데이터 조작을 어렵게 만듭니다.
    • 예시: 비트코인과 같은 암호화폐에서 각 블록의 해시를 이용해 데이터 무결성을 보장.
  6. 파일이나 데이터의 중복 제거
    • 해시 함수는 대규모 데이터 세트에서 중복 파일을 제거할 때 유용합니다. 파일의 해시 값을 계산하여 동일한 해시 값을 가진 파일이 있으면 중복 파일로 간주하여 제거할 수 있습니다.
    • 예시: 클라우드 저장소에서 중복 파일을 효율적으로 제거하는 시스템.

대표적인 해시 함수 알고리즘

  1. MD5 (Message Digest Algorithm 5)
    • 128비트(16바이트) 해시 값을 출력하는 해시 함수. 빠른 성능을 자랑하지만, 해시 충돌 문제가 발견되어 보안성 측면에서 현재는 잘 사용되지 않음.
  2. SHA-1 (Secure Hash Algorithm 1)
    • 160비트(20바이트) 해시 값을 출력하는 해시 함수. 과거에 널리 사용되었지만, 충돌 저항성에 문제가 있어 현재는 보안 용도로 잘 사용되지 않음.
  3. SHA-256 (Secure Hash Algorithm 256-bit)
    • 256비트(32바이트) 해시 값을 출력하는 SHA-2 계열의 해시 함수. 보안성이 뛰어나 암호화, 디지털 서명, 블록체인 등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됨.
  4. SHA-3
    • SHA-2를 보완하는 새로운 해시 함수 알고리즘으로, 더 향상된 보안을 제공.

결론

해시 함수는 데이터의 무결성을 검증하고, 비밀번호 암호화, 디지털 서명, 블록체인 등의 다양한 분야에서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해시 함수는 빠르고 단방향성을 가지며, 주어진 데이터가 변경되지 않았음을 보장하는 데 매우 유용한 도구입니다.